그림이 있는 갤러리(휴식처)

그림산책6(박태근)

각계♡ 2015. 8. 7. 21:49

 

 

 

사실 아직 그림을 박스 개봉하지 않은채 보관 하고 있는데 사진을 올려 정리하다 보니 당장 내일 박스를 개봉해야 할것같다 


박태근(朴泰根, Park Tae Keun)

[출생]
1963년생

[학력]
1989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1991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 석사학위 논문[회화를 통한 매체 연구]

[전시경력]
개인전
1990 제1회 개인전(윤갤러리/서울)
1999 제2회 개인전(갤러리 이후/서울)

단체전
1988 제14회 INDEPENDENTS전(국립현대미술관/과천)
   제7회 청년미술대상전(청년미술관/서울)
   제7회 대한민국 미술대전(국립현대미술관/과천)
   제1회 상현전(미술회관/서울)
1989 제15회 INDEPENDENTS전(국립현대미술관/과천)
   서울청년작가 초대전(88올림픽 공원/서울)
   더하기 빼기전(한선갤러리/서울)
   C.519전(토털 갤러리/서울)
   제2회 飛전(윤갤러리/서울)
   제8회 청년미술대상전(미술회관/서울)
   중앙미술대전(국립현대미술관/과천)
   오늘 그리고 젊은시각전(청년미술관 기획/서울)
   제5회 한국수채화공모전(미술회관/서울)
1990 동아미술대전(국립현대미술관/과천)
   제1회 미술세계대상전(경인미술관/서울)
   `90한국미술 그 하나의 제안전(동숭아트센터 기획/서울)
   모색...울림전(청년미술관/서울)
   OVER전(동숭아트센터/서울)
   EXIT & WAY OUT전(제3갤러리/서울)
   코스모스갤러리 개관기념 초대전(코스모스갤러리/서울)
   회화3인전(코스모스갤러리 초대/서울)
   NEW FORM `90전(윤갤러리/서울)
   제16회 서울현대미술제(미술회관/서울)
   인간 모색전(삼정미술관 기획/서울)
   타래미술관 개관기념 초대전(타래미술관/서울)
   제9회 대한민국미술대전(국립현대미술관/과천)
   제3회 飛전(관훈미술관/서울)
   `90活전(관훈미술관/서울)
1991 제4회 飛전(관훈미술관/서울)
   태동전(관훈민술관/서울)
   제10회 대한민국 미술대전(과천현대미술관/과천)
   중앙미술대전(과천현대미술관/과천)
1992 KEY전(인데코갤러리/서울)
   그림의 진실과 조화전(갤러리이콘, 인사동 이콘기획/서울)
1994 제5회 '올'전(갤러리 이콘 초대/서울)
   동아미술대전(과천현대미술관/과천)
1995 제14회 대한민국미술대전(과천현대미술관/과천)
1996 사랑의 작품전(대구시민회관/대구)
   제30회 한국미술협회전(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서울)
1997 제16회 대한민국미술대전(국립현대미술관/과천)
   8541전(녹색갤러리/서울)
   제31회 한국미술협회전(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서울)
1998 제17회 대한민국 미술대전(국립현대미술관/과천)
   제32회 한국미술협회전(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서울)
1999 19人의 감성표현전(갤러리 EVE 초대/서울)
   서울 시민을 위한 미술장터전, 가는 천년 오는 천년전
   (공평아트센터/서울)
2000 제34회 한국미술협회전(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서울)
2001 제35회 한국미술협회전(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서울)
2002 사랑의 작품전(대구시민회관/대구)
   제36회 한국미술협회전(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서울)
2004 제38회 한국미술협회전(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서울)
2005 국제 환경 미술제(코엑스 컨벤션홀/서울)
2006 제40회 한국미술협회전(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서울)
2010 봄의 향연전(중앙우체국 우표문화누리갤러리 초대/서울)


[수상]
88,90,91,92,95,97,98 대한민국 미술대전 입선-7회
90,94 동아미술대전 입선-2회
89,91 중앙미술대전 입선-2회
88,89 청년미술대전 입선-2회
90,92 미술세계대상전 입선-2회
88 상형전 입선
1999 한국자유시선 시집 제20집 표지화가
2000 월간문예사조 2월호 표지화가
2008 대한민국 인터넷 미술대전 장려상


[현재]

한국미술협회, 서울미술협회 회원





[작가노트]

-작가노트-

현실과 꿈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꿈과 현실을 구별하더라도 꿈을 깨어있는 상태의 진부한 행위들 보다 더 높이 평가한다.
꿈속의 사건은 현실에서 해야 할 일로 받아들이기도 한다.

오래된 기억에 연관된 꿈을 꾸기도 한다. ‘기억’속에서는 모든 것이 영상화되는 것이다.
그것은 ‘시간의 영상화’ 라고 할 수 있고, 거기에는 과거와 현재가 동일한 공간에 존재한다.
이 공간에서는 상상적 이야기 또는 연상적 이야기를 자연과 아날로그적 소재로
잊었던 향수를 자극하게 만든다.

데페이즈망(Depaysement 이질적인 대상의 결합) 기법도 빼놓을 수 없는 요소다
작품에는 친숙한 꽃이 등장한다. 이것은 동물이나 사람과 한 화면에 배치되고... 오래된 시계,악기와 같은 기계적 요소들.....
이들은 하늘 혹은 벽과 같은 신비한 공간에 서로 공존한다.
이것은 시각적 충격과 신비감을 자아내기 위한 것이다.
"기억"이란 개념을 살려내기 위해 익숙한 대상을 화폭에 집어넣는 '엉뚱한 결함'을 보여준다.
"자연과의 만남" "환상의 연주곡" "아날로그 풍경" 시리즈는 모두가 잊었던 향수를 찾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지금도 작업실에서.....


[평론]

말은 자유로우며 장대한 깊이를 지니고 로맨틱하다.
눈에 보이는 알 수 없는 언어들 눈에 비치는 영원한 속삭임들 그들의 머나먼 곳을 향하는 영혼의 멜로디...

현대 사회는 기계문명의 발달과 그로인한 공업제품의 대량생산과 소비, 메스미디어에 의한 정보의 시대로 대표되고 있다. 이러한 물질문병의 와중 속에서 미술도 자연히 일상 에서 볼 수 있는 이미지를 미술의 공간속으로 끌어들였다. 이것은 전통적인 일루전 미학에 기초한 허구의 세계를 직접적인 물체의 도입으로 대체시키고 예술과 일상생활 환경과의 동일성을 추구한 것이다.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체들을 일상적인환경에서 이질적인 환경으로 옮겨 그 물건으로부터 실용적인성격을 배제하여 물체끼리 새로운 만남을 연출하거나 엉뚱한 물체끼리 조합하여 새로운 현실공간을 만들어 비유적, 상징적, 연상적 효과를 만들었다. 즉 꿈속에서나 볼 수 있는 화면을 서정적으로 표현하였다. 이것은 보는 사람이 무한한 상상력을 자극하고 무의식의 세계 내지는 꿈의 세계로, 때로는 현실 속에서도 꿈처럼 살아가고 꿈속에서 대화하는 것처럼 상상하게 느껴지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