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이봉창 윤봉길의사의 한중일 역사에 미친 영향

각계♡ 2024. 10. 14. 12:17

1931년 7월  중국 의 만보산인근에서
    농수로. 문제로  한국인 농부들과 한족 중국인 농부들 사이에 다퉁이 일어난다(큰 인명 충돌 없음)
문제는 일본이 만보산 사건을  한국의 동아일보등
  한국내 신문들에. 자극적 여론 전
  그여파로 한국에서. 중국화교들을. 학살하는
   일들로 많은 화교들이 희생됨 으로
  중국내에세. 한국독립운동가들의 입지 약화됨
31년 9월 일본은  (당시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 엿으니. ) 만보산에서. 일(한)중. 갈등을 빌미로
만주사변을 일으켜 만주를 침략하는데
중국의 백만 대군은 일방적으로 밀린다
32 년 1월  만주점령을 눈앞에 둔. 기세등등한
  일본군의. 본진 동경의. 천황에게 폭탄을
   이봉창의사가 던져. 일본인들에게 공포를 심어준다(비록 불발탄 이엇으나 그건 중오ㅡ한것이 아니다)
의거 다음날  내각총사퇴 와 동경경시청장 사퇴

중국 언론에선 만주에서의 패배주의를 극복하며
이봉창의거를 대서특필하며 아까워라. 힌방에 보낼수 있엇다며..일본을 자극하고
일본인들이 해당언론사를 불사지르고. 폐간시킨다
일본과 중국의 갈등이 격화되며 일본은. 이참에 상하이 사변을 일으켸 침공을 확대한다
역시나. 상하이에서도 중국 백만대군은 일방적으로 밀리고 한달조금 지나 일본군이
승리한다
기세등등한 일본은 전승기념행사를 열고
중국은 패배의식이 팽배해질 즈음
윤봉길의사의. 의거로 일본군 대장1사망
중장2 (다리한쪽.절단..한쪽눈 실명등) 공사 다리힌촉 절단 등등. 7명정도의 군수뇌부들을
죽거나 크게 다치게 한다
전쟁은 우두머리 장수들의 역량에 좌우되는데
초고위층을. 여럿을 잃은  충격에 일본군은. 긴급하게 만주로 퇴각을 전제로 정전협상에 서명한다
그길로 일본군은 민주에서 5 년간 발이 묶이면서
중국 이나 연합군들에게  일본을 대항할 충분한 시간을 벌어줫기에.. 어쩜 일본군 패망하는데도 큰역할을 햇다고. 할수 있다
이런 싱황이니 장개석 총통이 백만중국군이 못한일을 윤봉길의사가 해냇다고 크게 칭송은 인사치례가 아닌 실제로 중국군이 쉽게 내준 상하이를 윤봉길의거로 군수뇌부의 공백이 생긴 일본군이 급히 상하이에서 만주로 물러가는. 불리한조건에 서명하게 됨을 고려하면.  아주 현실적인 사실 그대로를 이야기햇다고 할것이다 그뒤론그동안 소원햇던 임정을 적극 지원한다
십넨뒤엔 카이로에서 한국독립을 정식안건으로 올린 장본인도. 장개석 총통이다
( 당시 회의는 이차대전 전후처리 문제를 논하기 때문에 패전국에 일차대전 이전으로 영토를 돌아가라 요구햇기에.. 그기준에선 한국은 해당되지 않는다..)
이렇듯 30년대의 동아시아 정국엔 이봉창과 윤봉길의사 의 영향력이 어마무시 햇던것이다
그러니. 원폭한방덕에. 한국독립이 거져 얻엇다
주장하는 사람들은. 국제사회엔 거저 얻는게 없다는것을 모르는 사람들이 하는 주장일뿐이다


윤봉길의사 의거직후의. 일본오사카 아사히 신문
의 윤봉길의거 관력신문으로 윤의사 사진이 2컷들어가 있는 궈중한 신문으로 70년대부테 2천년대까지 약 40년간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한때 해당사진이 윤의사 사진이 아니다는 주장탓에 보물지정해제 되엇으나 이후 윤봉길의사 사진인것으로 최종결론난 신문기사 사진. 같은 신문을 우연히  일본중고책방에서 우연히 구입한. 작품